
당뇨병은 혈당 조절 불량으로 인해 혈관에 손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발에 생기게 되면 당뇨발이 되고, 콩팥에 생기면 당뇨병성 신증 또는 콩팥병증이 되고, 신경계통의 모세혈관에 생기면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됩니다.
눈은 작은 장기이긴 하지만 망막, 시신경, 시신경 섬유 등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중 모세혈관병증이 망막에 생기면 당뇨망막병증이 되고, 시신경이 손상을 받으면 당뇨병성 시신경병증이라고합니다.
당뇨병과는 별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시신경 섬유 다발이 손상 받는 질환을 녹내장이라고 합니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전반적으로 혈류 공급이 좋지 않아 안과적으로 시신경, 망막뿐 아니라,시신경 섬유와 안구의 미세 구조에도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정상인에 비해 당뇨인의 경우 40% 이상 녹내장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녹내장은 발생되는 기전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눈의 압력을 나타내는 안압을 기준으로 하여 안압 정상인 녹내장과 안압이 올라가는 녹내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녹내장인 안압이 올라가는 녹내장을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이라고 분류하는데, 연구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당뇨병이 있는 경우 40-70% 가량 발병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또한 안압이 정상인 녹내장도 모세혈관의 손상과 동반되어 발병 위험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밖에 망막 레이져광응고술을 받을 정도로 진행된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의 경우 신생혈관이망막에 자라게 되는데 레이져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거나, 레이져 치료의 시기가 늦은 경우 신생혈관이 홍채 및 동공에서 자라게 되면서 안압이 증가되는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녹내장은 자각증상이 거의 없고, 특히 당뇨인의 경우 다양한 부위에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정기적인 안과검진과 철저한 혈당조절만이 당뇨합병증을 예방하고 진행을 늦출 수 있는 가장 좋은방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