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백과
- 정의
-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디스크(추간판)가 밀려나 주위 신경근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흔히 ‘목 디스크’라고 부릅니다.  - 척추는 33개의 뼈로 연결되어 있는데,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서 몸의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는 것이 추간판, 일명 ‘디스크’입니다. 디스크는 스프링처럼 충격을 완화하고 척추뼈들끼리 부딪히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디스크는 80%가 수분 성분인 젤리처럼 생긴 수핵(가운데 위치)과 이 수핵을 둥글게 둘러싼 섬유륜으로 구성됩니다. 나이가 들면 수핵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여 탄력성이 떨어지고, 나쁜 자세나 사고 등 외부적인 자극이 가해져 디스크가 밀려나는데, 이것이 이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 원인
-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일상생활의 잘못된 습관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목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나타나기 쉽습니다. 
 ① 장시간 앉아 있으면서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미는 습관
 ② 눈이 나빠 눈을 찡그리며 목을 빼고 앞으로 보는 습관
 ③ 사고 등 직접적인 충격으로 목뼈나 관절에 손상이 생긴 경우
 ④ 평발이거나 발에 맞지 않은 신발을 계속 신는 경우
 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경우
 ⑥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 증상
-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목의 통증
 ② 어깨, 팔, 손바닥, 손가락의 통증
 ③ 감각 이상(만지면 전기가 오듯 저린 느낌, 둔한 느낌)
 ④ 마비 증상(쥐는 힘이 떨어져 물건을 놓침. 팔을 들어 올리기가 힘듦.)
 ⑤ 눌리는 신경의 위치에 따라 통증의 위치도 변함.
- 진단
-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단순 방사선 검사
 경추부의 전반적 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 ② 전산화 단층촬영(CT) 
 디스크의 경화 상태, 인대의 석회화, 경추 뼈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자기공명촬영(MRI) 
 디스크의 상태, 척수 및 신경의 압박 정도, 인대나 근육 등의 연부 조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치료
-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 보존적 요법
 1) 침상 안정
 침상 안정은 디스크의 압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높지 않은 베개를 선택하여 목덜미까지 베도록 합니다.- 2) 약물 요법 - 3) 물리치료 - 4) 체중 조절 - 5) 운동 요법 - 근육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해 주면 좋습니다. (걷기, 체조, 수영 등) - 6) 올바른 자세 
 의자에 앉을 때 등을 구부리지 않고 양쪽 어깨를 펴고 바르게 앉습니다. 걸을 때는 목을 앞으로 숙이지 않고 어깨를 펴고 바르게 걷습니다.- 7) 압통이 있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마취제나 스테로이드 주사 - 2. 수술적 치료
 6주 이상의 적극적 보존적 치료(경구 약물, 신경 차단술 등)로도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거나, 근력 저하, 보행 장애, 대소변 장애 등 마비 증상이 진행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1) 신경 감압술  
 2) 디스크 제거술 
 3) 경추 유합술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